HOME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More information
이런저런 개발관련 잡설들

onionmixer 2017-08-22 15:53:13 7853

1. 웹 사이트 가이드라인
https://github.com/lezhin/accessibility#alt

레진코믹스에서 최근에 웹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공개했습니다. html(css) 코드를 비롯해서 내용을 markup 으로 만들고 이를 github 에 올린 발상을.... 뭐랄까 나중에 반드시 해보고 싶은 방법중에 하나네요..


2. 카카오뱅크 기술분석
http://blog.gaerae.com/2017/08/kakaobank-architect...

요 근래 카카오뱅크가 많이 핫! 합니다. 이런저런 얘기들이 나와 있습니다만..... 저 부분만 보면 web 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봐야겠네요. CDN 서비스를 사용한것도 특이할만한 사항입니다...... 하지만 사실 web 은 크게 관심이 없..... 하지만 제가 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내용을 언젠가는 한번 정리해봄직하다는 생각도 드는군요. 기술을 카테고리별로 나열한다는건 꽤나 괜찮은 발상이 아닌가 싶습니다.


3. 챗봇은 과연 놀라운 서비스가 될것인가?
https://blog.sendbird.com/ko/%EB%A9%94%EC%8B%A0%EC...

제가 속해있는 팀도 내부적으로는 메신저 시스템과 그룹대화 및 bot 기능을 만들어서 이미 테스트까지 끝나있는 상태기는 합니다. 내부적으로 검색엔진등을 도입해서 이런저런 시도를 하고 있고.. 본문에서 다국어로 키워드를 추출해서 내부에서 hidden tag 로 사용하며 검색엔진의 연관검색 키워드로 사용하고 있는등.. 고민은 늘 하고 있습니다만...... 여튼간에 채팅을 통한 서비스의 제공이라는건 컨텐츠와 플랫폼을 가진 양쪽 다의 욕심이 아닌가 싶네요


4. 개발자의 비밀?
http://www.ciokorea.com/news/34929

대부분 맞는말이네요.. 웬지 자존심 상했습니다.. 쳇..


5. 기업복지? 데이터 축적?
http://www.etnews.com/20170705000171

사실은 이런 내용이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중에 하나가 될겁니다. 빅데이터라는건 데이터의 누적과 데이터를 캐내는 데이터마이닝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봐야하는데.. 전자의 경우는 다분히 기술 위주의 내용입니다만.. 후자의 경우라면 사실 아이디어 및 컨셉에 의존하는 면이 훨씬 큰 편입니다. 저는 저 기사 내부에서... 복지 부분 보다는 데이터를 바라보는 관점이 매우 신선하게 보이더라구요...


6. 마케팅의 트렌드
http://blog.naver.com/asix_/221028854802

하는일이 일이다보니 마케팅의 트렌드에 대해서도 이런저런 고민을 하게 됩니다. 진정성이라고 하는데.. 사실 바이럴에 조금의 성의를 섞으면 그게 제일 효과적인 방법이겠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이 기사에 대해서 관심을 가진 이유는 점점 BJ 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 micro contents 가 강조되면서 보다 현실적으로 와닿을 수 있는 수요때문에 이런 경향은 앞으로도 꽤 지속되지 않을까 싶네요.

댓글 0개

Previous / Next
Previous 2017년 추석 계획은 잘 되어가시는건가요?
Next 오랜만에 web link 정리용 잡설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