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TIP & TECH

TIP & TECH

TIP & TECH More information
다빈치 리졸브의 편집에서 퍼포먼스를 올리는 방법

onionmixer 2025-08-13 12:18:00 17

1. 프록시 미디어 (Proxy Media) 활용 - 가장 효과적인 방법

가장 확실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원본 4K 영상을 저화질/저용량의 편집용 영상(프록시)으로 변환한 뒤, 편집할 때는 이 가벼운 프록시 영상을 사용하고 최종적으로 영상 출력(렌더링) 시에만 원본 4K 영상으로 자동 교체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컴퓨터 사양에 상관없이 거의 모든 환경에서 4K 편집을 부드럽게 만들어 줍니다.

만드는 방법:

* **미디어 풀(Media Pool)**에서 원본 영상 클립들을 모두 선택합니다.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Generate Proxy Media를 선택합니다.
* 클립 개수와 길이에 따라 변환 시간이 걸리며, 백그라운드에서 작업이 진행됩니다.
* 변환이 완료되면 상단 메뉴에서 Playback > Proxy Handling 으로 이동하여 Prefer Proxies를 체크합니다.

이제부터 타임라인에서 재생과 편집은 프록시 미디어로 이루어져 매우 부드러워집니다.

※ 최종 출력 시에는 Prefer Proxies를 해제하지 않아도 다빈치 리졸브가 자동으로 원본 영상으로 렌더링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2. 타임라인 해상도 조절 (Timeline Proxy Resolution)

프록시 생성 없이, 실시간 재생 해상도만 일시적으로 낮춰서 성능을 확보하는 간편한 방법입니다.

* 상단 메뉴에서 Playback > Timeline Proxy Resolution 으로 이동합니다.
* Half(절반) 또는 Quarter(1/4)를 선택합니다.
* 뷰어(미리보기) 화면의 화질은 낮아지지만, 타임라인의 반응 속도와 재생 성능이 크게 향상됩니다.
* 이 설정은 최종 출력물의 화질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3. 렌더 캐시 (Render Cache) 사용

퓨전(Fusion) 효과나 색보정, 자막 등 무거운 효과가 적용된 구간을 미리 렌더링해서 캐시 파일로 만들어두는 기능입니다.

* 상단 메뉴에서 Playback > Render Cache 로 이동하여 Smart로 설정합니다.
* 이렇게 설정하면 다빈치 리졸브가 무겁다고 판단하는 클립 위쪽에 **빨간색 바(Bar)**가 생기고, 잠시 기다리면 이 구간을 자동으로 렌더링하여 파란색 바로 바꿔줍니다.
* 파란색 바로 바뀐 구간은 매우 부드럽게 재생됩니다.

저장 공간 관리:

* 캐시 파일은 용량을 많이 차지할 수 있습니다.
* File > Project Settings > Master Settings의 Working Folders에서 캐시 파일 저장 위치(Cache files location)를 용량이 넉넉한 SSD 드라이브로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3.1 다빈치 리졸브에서 캐시 폴더(Cache Folder)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캐시 파일은 렌더링, 프록시, 최적화 미디어 등 편집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생성되는 임시 파일입니다. 이 파일들이 C 드라이브 같은 시스템 드라이브에 쌓이면 용량 부족의 원인이 되므로, 용량이 넉넉하고 속도가 빠른 별도의 SSD 드라이브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캐시 폴더 위치는 두 가지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캐시 폴더 변경
* 앞으로 만들 모든 새 프로젝트의 기본 캐시 폴더 변경


3.2 현재 프로젝트의 캐시 폴더 변경 방법

지금 작업하고 있는 특정 프로젝트의 캐시 파일 저장 위치만 바꿀 때 사용합니다.

* 다빈치 리졸브 우측 하단의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하여 프로젝트 설정(Project Settings) 창을 엽니다.
* 왼쪽 메뉴에서 **마스터 설정(Master Settings)**을 선택합니다.
* 아래로 스크롤하여 작업 폴더(Working Folders) 항목을 찾습니다.
* 캐시 파일 위치(Cache files location) 항목 옆의 찾아보기(Browse) 버튼을 클릭합니다.
* 원하는 폴더(예: D 드라이브의 DaVinci_Cache 폴더)를 선택하고 폴더 선택을 누릅니다.
* 우측 하단의 저장(Save) 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적용됩니다.

이제부터 이 프로젝트에서 생성되는 모든 캐시 파일은 새로 지정한 폴더에 저장됩니다.


3.3 모든 새 프로젝트의 기본 캐시 폴더 변경 방법

앞으로 생성하는 모든 프로젝트에 적용될 기본 캐시 저장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한 번만 설정해두면 편리합니다.

* 화면 좌측 상단의 DaVinci Resolve 메뉴를 클릭하고 **환경 설정(Preferences)**을 선택합니다. (단축키: Ctrl + ,)
* 열리는 창에서 시스템(System) 탭을 선택한 후, 왼쪽 메뉴에서 **미디어 스토리지(Media Storage)**를 클릭합니다.
* 미디어 스토리지 위치(Media Storage Locations) 목록이 보입니다. 이 목록의 가장 위에 있는 경로가 기본 캐시 저장 위치가 됩니다.
* 추가(Add) 버튼을 눌러 캐시 파일을 저장할 새 드라이브나 폴더를 추가합니다.
* 새로 추가한 경로를 목록의 맨 위로 옮깁니다. (기존 C 드라이브 경로는 제거(Remove) 버튼으로 삭제해도 됩니다.)
* 우측 하단의 저장(Save) 버튼을 누릅니다. 변경 사항을 적용하려면 프로그램을 재시작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새로 만드는 모든 프로젝트는 방금 설정한 위치에 캐시 파일을 기본적으로 저장하게 됩니다.

댓글 0개

Previous / Next
Next thunderbolt port 가 없는 desktop 에 alt-dp(type-c) port 1개만 지원하는 외장 모니터를 연결하려 할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