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 TECH
다빈치 리졸브의 편집에서 퍼포먼스를 올리는 방법 |
onionmixer 2025-08-13 12:18:00 17 |
---|---|
1. 프록시 미디어 (Proxy Media) 활용 - 가장 효과적인 방법 가장 확실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원본 4K 영상을 저화질/저용량의 편집용 영상(프록시)으로 변환한 뒤, 편집할 때는 이 가벼운 프록시 영상을 사용하고 최종적으로 영상 출력(렌더링) 시에만 원본 4K 영상으로 자동 교체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컴퓨터 사양에 상관없이 거의 모든 환경에서 4K 편집을 부드럽게 만들어 줍니다. 만드는 방법: * **미디어 풀(Media Pool)**에서 원본 영상 클립들을 모두 선택합니다. 이제부터 타임라인에서 재생과 편집은 프록시 미디어로 이루어져 매우 부드러워집니다. ※ 최종 출력 시에는 Prefer Proxies를 해제하지 않아도 다빈치 리졸브가 자동으로 원본 영상으로 렌더링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프록시 생성 없이, 실시간 재생 해상도만 일시적으로 낮춰서 성능을 확보하는 간편한 방법입니다. * 상단 메뉴에서 Playback > Timeline Proxy Resolution 으로 이동합니다.
퓨전(Fusion) 효과나 색보정, 자막 등 무거운 효과가 적용된 구간을 미리 렌더링해서 캐시 파일로 만들어두는 기능입니다. * 상단 메뉴에서 Playback > Render Cache 로 이동하여 Smart로 설정합니다. 저장 공간 관리: * 캐시 파일은 용량을 많이 차지할 수 있습니다. 3.1 다빈치 리졸브에서 캐시 폴더(Cache Folder)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캐시 파일은 렌더링, 프록시, 최적화 미디어 등 편집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생성되는 임시 파일입니다. 이 파일들이 C 드라이브 같은 시스템 드라이브에 쌓이면 용량 부족의 원인이 되므로, 용량이 넉넉하고 속도가 빠른 별도의 SSD 드라이브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캐시 폴더 위치는 두 가지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캐시 폴더 변경
지금 작업하고 있는 특정 프로젝트의 캐시 파일 저장 위치만 바꿀 때 사용합니다. * 다빈치 리졸브 우측 하단의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하여 프로젝트 설정(Project Settings) 창을 엽니다. 이제부터 이 프로젝트에서 생성되는 모든 캐시 파일은 새로 지정한 폴더에 저장됩니다.
앞으로 생성하는 모든 프로젝트에 적용될 기본 캐시 저장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한 번만 설정해두면 편리합니다. * 화면 좌측 상단의 DaVinci Resolve 메뉴를 클릭하고 **환경 설정(Preferences)**을 선택합니다. (단축키: Ctrl + ,) 이제부터 새로 만드는 모든 프로젝트는 방금 설정한 위치에 캐시 파일을 기본적으로 저장하게 됩니다. |
Next | thunderbolt port 가 없는 desktop 에 alt-dp(type-c) port 1개만 지원하는 외장 모니터를 연결하려 할때 |
---|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