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TIP & TECH

TIP & TECH

TIP & TECH More information
linux 와 systemd

onionmixer 2015-02-27 13:17:58 4281

사실 이건 개인 홈페이지에 올라가야할 수준의 내용이기는 합니다만...-.-;

일단 자료의 나열부터 시작해보도록 하죠.


1. NetworkManager and bridging
http://seven.centos.org/2013/12/network-manager-and-bridging/

2. Fedora 20 virtualization with NetworkManager native bridging
https://avi.alkalay.net/2014/01/fedora-20-virtualization-networkmanager-native-bridge.html

3. systemd 관련 자료들 검색결과(wiki)
https://wiki.manjaro.org/index.php?search=systemd&title=Special%3ASearch

4. RHEL7: How to get started with Systemd.
http://www.certdepot.net/rhel7-get-started-systemd/

5. Overview of systemd for RHEL 7
https://access.redhat.com/articles/754933

6. "Chapter 6. Managing Services with systemd"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en-US/Red_Hat_Enterprise_Linux/7/html/System_Administrators_Guide/chap-Managing_Services_with_systemd.html

7. "6.2. Using the NetworkManager Command Line Tool, nmcli"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en-US/Red_Hat_Enterprise_Linux/7/html/Networking_Guide/sec-Network_Bridging_Using_the_NetworkManager_Command_Line_Tool_nmcli.html



현재의 linux 는 기존의 systemv(openrc) 등으로 대표되는 system 운영에서 systemd 를 이용한 운영방식으로 변경되어가고 있습니다. 더욱이 systemv 를 C로 구현한 openrc 조차도 bash 에서 자유로울수는 없으며, 이런 특성은 bash 에 의한 보안문제가 일어날때마다 동일한 보안문제를 안고가야하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 단점을 보완하고자 linux 에서 pulse audio 시스템(?)을 만든 개발자들이 linux system 의 근간을 새로 만드는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게 바로 systemd 인것이죠. 보안성과 기존의 중구난방식 관리체계를 다시 잡겠다는 의도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전반적인 내용은 wikipedia 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Systemd


더군다나 systemd 는 gnome 3 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게 됨으로서 udev 를 쳐내고 그 자리를 대신하기까지 하죠. 다행히 dbus 등에 대한 interface 를 제공하기때문에 그리 큰 문제는 없을거라고 "생각" 됩니다만.. 그리고 실제로 dbus 를 사용하는 프로그램등은 이상없이 작동하기도 하구요... 그래서 모든것이 문제가 없을것 "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1. 기존의 관리 스크립트는 일절 사용할 수 없다
2. 기존의 시스템사용방법도 일절 적용되지 않는다.


정도의 문제가 있습니다.....

제 경우는 linux 사용 20년차가 넘게 되었습니다만.. (1994년부터니깐요) 그동안의 경험치가 싸그리 무시되는듯한 경험을 대략 일주일정도 지속하게 된것 같습니다. 무슨 문서가 있는지도 모르겠고.. 뭐가 되는지도 모르겠고...-.-; 게다가 짜증나는건 systemd 혼자 모든일을 다 하는게 아니라 network 부분은 NetworkManager 를 사용한다는거죠.


다행히 gnome 3 의 공식배포판중 하나가 fedora 이며 centos 7 부터는 gnome 3 를 기본적으로 지원해주기때문에 문서를 찾아봐야 한다면... redhat 에서 배포하는 문서가 가장 효과적이라는겁니다. 한글로된 문서도 없는 이런 근본없는 솔루션을 사용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가뭄의 단비같은 존재가 되는거죠.


gentoo linux 의 경우에는 애초에 stage 3 부터 빌드할때 USE flag 에 systemd 를 넣으시길 권장하는 바입니다. 그렇지 아니할때에는 큰 화를 치루게 되겠죠...(중얼중얼)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기는 합니다만... 분명 제게도 요긴하게 쓰일겁니다. 위에 적은 link 들은 gentoo linux 상에서 systemd 를 사용할때 VirtualBox 의 network 를 Bridge mode 로 사용하려할때 GUI 도구를 이용해서 어떻게 브릿지를 만들어야 하는가에 대한 내용을 찾아보는데 사용했던 링크들입니다. 부디 다른사람들에게도 요긴하게 쓰였으면 합니다.

댓글 2개

Previous / Next
Previous 블랙베리(blackberry) 10 과 google api
Next 당신의 안드로이드폰을 iOS 와 비스무리~ 하게 바꿔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