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TIP & TECH

TIP & TECH

TIP & TECH 상세
maven 에 대한 간단한 팁

onionmixer 2017-04-07 16:30:08 3643

maven 은 통합 빌스시스템으로서 java 의 경우는 ant > maven > gradle 로 넘어간 상황이라 크게 의미가 없을지 모르지만 최근에 진행한 프로젝트가 maven 의 POM 을 기준으로 만들어 진 덕분에 간단하게 자료를 좀 찾아봤습니다.

http://dimdim.tistory.com/entry/Maven-정리
http://unabated.tistory.com/entry/Maven-을-이용한-프로젝트-생성-및-활용
http://linuxism.tistory.com/1341
http://kjunine.tistory.com/entry/getting-started-w...

이런저런 내용들이 잔뜩 있기는 합니다만.. 사실 그 본질은 관리겠죠.

maven 에 대한 몇가지 정리를 해보자면...

1. maven 자체는 repository 가 아니다. build 와 deploy 를 하기 위한 시스템
2. maven 의 deploy 는 nexus 를 target 으로 이루어진다. 결국 별도의 nexus 를 세팅하지 않으면 deploy 는 쓸 일이 없다는거
3. ~/.m2/reposiroty 안쪽에 maven 에서 관리되는 것들이 들어간다.
4. 소스코드가 있는 프로젝트 자체를 eclipse 에서 import maven 할때 관련된 pom.xml 에 설정된 패키지들을 잔뜩 받아오게 된다. Eclipse 아래쪽의 task manager 부분을 잘 참고해서 모든 resource 를 받아온 상황이 아니라면 괜히 빌드를 서두르지 마라.
5. maven 에서 install 은 소스프로젝트 안쪽의 target 에 war 로 프로젝트를 묶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걸 tomcat 의 webapps 디렉 안쪽에 압축을 해제해야 비로소 public release 상태로 운영할 수 있다.
6. install 을 하지 않고 eclipse 에서 개발상태로 프로젝트를 테스트한다면 대부분의 경우
"${workspace}/.metadata/.plugins/org.eclipse.wst.server.core/tmp0/wtpwebapps"
정도의 디렉토리를 web home 으로 잡고 tomcat 을 구동시켜서 운영하게 된다.


이정도만 알고 있어도 maven 에서 필요한 내용을 수정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없을듯 싶습니다 :D

댓글 0개

이전글/다음글 목록
이전 centos 와 UEFI 의 복구
다음 최고의 c++ 강의 5개